1. 기의 개념은 뭘까?
기(氣)라고 하면 웬지 부담감이 생기거나 미신적인 요소가 많다는 생각에 사로잡히게 되는 경우가 많다.
하지만 쉽게 접하는 빈 공간 안에 가득하고 우리가 조금도 쉬지 않고 호흡하는 공기, 등장하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는 연예인들의 인기, 어른들이 말하는 “수저 놓으면 죽어”의 곡기라고 하는 곡식의 기운을 생각한다면 부정적인 생각들이 정리될 것이다.
* 기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.
① [철] 동양철학에서 만물을 생성하는 근원의 세기
② 생활⦁활동의 힘(~가 왕성하다)
③ 있는 힘의 전부(~를 쓰다)
④ 인간의 정신활동, 정신력
⑤ 숨 쉴 때에 나오는 기운(~가 막히다)
⑥ 뻗어나가는 기운, 왕성한 정신(~가 푹 죽다/~를 펴지 못 하다/~를 꺽다)
⑦ 객기로 쓰는 기운(~가 과하다)
⑧ 막연한 전체적인 느낌, 분위기(살벌한~)등으로 정의하고 있으며, 또 기(氣)는 중국의 철학용어로 본래의 글자는 기 이면, 사람의 호흡을 나타낸다.
호흡은 생명력과 활동의 근원이 되며, 이는 도가(道家)에서 양기(陽氣)라고도 일컫 는다.
이처럼 우리는 예로부터 일상의 생활 속에서 기(氣)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써 옴으로써‘기(氣)’가 우리와 함께 있음을 알고 있다.
기는 힘이고 에너지이며 파장이다.
실제 생활 속에 쓰이는 단어를 예로 들어 기를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.
• 힘, 에너지, 생명력으로서의 기
- 활기, 원기, 생기, 진기, 혈기, 운기
• 숨쉬기, 바람 같은 공기의 흐름이나 그 기에서 생기는 힘 으로서의 기 - 대기, 공기, 흡기, 호기
• 느낌이나 파장으로서의 기
- 부기, 허기, 풍기, 습기, 수기, 열기, 냉기, 온기, 한기,
향기, 분위기, 청기, 탁기
• 철학적 관념이나 정신력으로서의 기
- 정기, 용기, 호연지기, 정기, 사기, 음기, 양기, 내기,
외기, 신기, 광기, 객기
• 물질의 특성에 의해 나타나는 기
- 착기, 끈기
• 자연 현상과 그 힘에 의해 나타나는 기
- 천기, 지기, 자기, 전기, 곡기, 수기
우리 생활 속에서는 그 외에도 ‘기를 꺽는다’, ‘기가 센 사람이다’, ‘기가 막히다’, ‘기절했다’, ‘기분이 나쁘다’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.
언어생활 이외에 우리가 직접 체험하거나 보고 느낄 수 있는 기를 보면 자석 등의 N극과 S극이 상호 작용하는 힘이나 해, 달, 지구 및 우주계(은하계)의 인력이나 지구의 중력 등을 기(에너지)의 현상이라 하겠다.
생물은 물론 무생물에도 분자, 원자, 중성자 등의 움직임이 있다. 그 움직임과 여기서 나오는 모든 에너지와 파장이 기(氣)인 것이다.
'기치유와 명상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치유칼럼] 이지관 교수의 기이야기 1 (0) | 2020.03.29 |
---|---|
[동양의氣사상] 氣의 분류와 기능은 어떻게 나누는가? (0) | 2020.03.29 |
[정신] 나도 채널러가 될 수 있을까? (0) | 2020.02.05 |
[에너지] 채널링이 어떻게 가능할까? (0) | 2020.02.05 |
[氣] 에너지로 수맥 간접 탐사법 (0) | 2020.02.05 |
최근댓글